Prescribing in Pregnancy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01:48
본문
Download : Prescribing in Preg.hwp
실제 임신중의 약물투여가 그 산모 또는 태아에 어떠한 影響(영향)을 미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며 아직까지도 태아에 대한 위해 여부가 확인된 약물은 그리 많지 않다. 뿐만 아니라 산모가 어떤 질환이나 그 증상으로 고통을 받고 있을 때 적절한 약물투여는 매우 산모나 태아에 유익한 결과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때로는 임신과 태아에 필수적인 약물들을 권유해줄 수도 있어야 하는데 최근에는 여러 광범위한 연구들을 통하여 임신중독증과 같은 임신합병증이나
설명
IV. 감기약
VIII. 항오심제
4. Genetic susceptibility
임신중 산모의약물복용 임신중 투약 기형유발물질 산모의약물복용 약물 복용 / (임신중 산모의 약물복용)
1960년대의 thalidomide catastrophe로 임신중 산모의 약물복용이 태아에 심각한 影響(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증거가 제시된 이후 임신중에는 어떠한 약물도 태아에 해가 된다고 생각해 왔고 최근까지도 이러한 일반적인 생각은 變化(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I. 서 론
3. 진균 감염
II. Factors determining the teratogenic effect of a drug
임신중 산모의약물복용 임신중 투약 기형유발물질 산모의약물복용 약물 복용
4. Trichomonas 감염
레포트 > 기타
X. 기호품
임신중 산모의약물복용 임신중 투약 기형유발물질 산모의약물복용 약물 복용 / (임신중 산모의 약물복용)
XII. 자기공명영상(MRI)
1. Nonsteroidal anti-inflamatory agents(NSAIDs)
2. Corticosteroids
3. Dose & Duration of exposure
2. Gestational Age
VII. 마취제
순서
XIV. 결 론
1. 일반적 세균 감염
V. 항생제
Prescribing in Pregnancy
다.
XIII. 전자파
2. 결핵
III. 임신중 영양제
IX. 소화기계 약물
1. Teratogenic potential of an agent
Download : Prescribing in Preg.hwp( 11 )
XI. 방사선 검사
VI. 진통제 및 소염제





산모들은 여러 이유로 약물들(한약을 포함한)을 복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고민하다 유산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다 World Health Organization의 발표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86%의 산모가 임신중 평균 2.9 종류의 약물을 복용한다고 한다(Collaborative Group on drug use in pregnancy, 1991). 따라서 임상에서 산모를 직접 다루는 산부인과 의사는 각종 약물과 그 기전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갖고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뜻하지 않게 약물을 복용하게 되어 걱정하고 있는 산모에게 적절한 조언으로 위해가 되는 약물과 그렇지 못한 것을 구분해줄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