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MIS 소자에 관한 termproject 텀프로젝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10:12
본문
Download : MIS 소자 관련 텀프로젝트.hwp
그래서 반도체를 반(半)+도체(導體) 또는 절반(SEMI)+도체(CONDUCTOR)라고 하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 말한다면 `전류가 흐른다`,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라고 할 수 있따
반도체란?
Download : MIS 소자 관련 텀프로젝트.hwp( 51 )
`원래는 거의 전기가 통하지 않지만 빛이나 열, 또는 불순물을 가해주면 전기가 통하고 또한 조절도 할 수 있는 물질`
철사처럼 `전류가 흐르는 물질을 도체라고 하고, 유리처럼 전류가 흐르지 않는 물질을 부도체라고 한다. 그러나 도체가 전기는 잘 통하지만 사람이 조절하기 어려운 반면에 반도체는 사람이 어떻게 조작하느냐에 따라 조절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따 이처럼 도체와 부도체의 advantage을 다가지고 있는 것이 반도체이며 전기전도도의 조절 용이성이 바로 반도체의 무한한 가능성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따 반도체를 한마디로 정의한다면 다음과 같다.
다. 빛을 비춰준다거나 열을 가한다거나 특정불순물을 넣어주면 도체처럼 전기가 흐르는 것이다. 덧붙여서 MIS 시스템에서의 반도체 표면이론에 대한 설명(explanation)을 부가하였다. 또한 절연체로서 SiO2와 같은 산화물(Oxide)을 이용한 것을 MOS 구조라 한다. 하지만 부도체와는 달리 어떤 인공적인 조작을 가하면 도체처럼 전기가 흐르기 스타트한다.
I. 서 론





순서
II. 본 론
‣ MOS ( Metal Oxide Semiconductor ) : 일반적으로 Insulator로 SiO2를 많이 사용함. (SiO2 가 이상적인 전기적 property(특성)을 제공함)
우리는 `전기가 통한다`, `전기가 안통한다`하는 말을 자주 쓰게 된다. 이것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나 전하 결합 소자(CCD : Charge Coupled Device) 등에 이용되고 있따
2> 이제 MIS 소자에 대한 전반적인 기능과 에너지띠의 property(특성), 그리고 구조적인 성질 등에 마주향하여 살펴보겠다.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MIS 소자에 관한 termproject 텀프로젝트
‣ MIS ( Metal Insulator Semiconductor )
MIS 소자에 관한 termproject 텀프로젝트
MIS, 반도체, 절연체
[반도체] MIS 소자에 관한 termproject 텀프로젝트
설명
1> 반도체(Semiconductor)의 표면에 절연체(Insulator)를 붙이고, 그 위에 전극인 금속(Metal)을 붙인 구조를 MIS 구조라 한다. 따라서 도체는 전기전도도가 아주 크고 부도체는 전기전도도가 거의 0(zero)라고 할 수 있따 그럼 반도체는 도대체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정도 되는 물질을 반도체라고 한다. 사실 순수한 반도체는 부도체나 마찬가지다. 전기공학에서는 전기가 흐르는 정도를 `전기전도도`라고 한다. 즉, 전기가 거의 통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