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ULL 흐름라인의 산출량 변동성을 최소화하는 작업자 배정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4 00:36
본문
Download : [A+] PULL 흐름라인의 산출량 변동성을 최소화하는 작업자 배정안.hwp
그리고 생산카드걸이의 생산카드 상태로써, 선행 셀의 저장공간(outbound)에 대기중인 회수카드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Mitra et al. (1990)) 이러한 이유로, 개별 셀의 상태를 기술하는 효율적인 방법은 생산카드와 작업물 관련변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임의의 시점에서 pull 흐름라인의 개별 셀의 상태를 기술하는 방법은 작업물, 생산카드 그리고 회수카드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고, 이 3 가지 방법은 상호보완 관계를 유지한다. Pull 흐름라인 시스템의 개별 셀에서, 생산카드의 분리시점 및 생산카드의 부착시점은 회수카드의 이동시점 및 회수카드의 분리시점과 각각 일치한다. 이 경우, 개별 셀을 구성하는 물리적 요소로서, 대기행렬과 저장공간(queue and outbound)만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pull 흐름라인은 대기행렬과 저장공간으로 구성되는 각 셀 들이 연속으로 배열되어 있어, 개방형 유한 대기행렬 네트워크(open finite tandem queueing network)로 표현될 수 있다 이 사실은, 유한 저장공간(finite buffer)을 가지는 대기행렬에 대한 기존의 모형이나 연구결과들을 (예 : Gershwin(1987), Suresh et al.(1990), Whitt(1984) etc.) pull 흐름라인에 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달리 표현하여, 작업물의 흐름에는 정보의 흐름이 내재해야 하고, 역으로 정보의 흐름에는 작업물의 흐름이 담겨 있어야 한다.
6. 작업자 배정에 대한 事例analysis
PULL 흐름라인의 산출량 변동성을 최소화하는 작업자 배정안1. 서론
설명
2. Pull 흐름라인의 개요
Pull 흐름라인의 개요
Pull 흐름라인 생산시스템에서 작업물의 흐름과 정보의 흐름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된다 작업물의 흐름은 셀 (1)에서 셀 (m)으로, 정보의 흐름은 셀 (m)에서 셀 (1)로 진행된다 따라서 pull 흐름라인 시스템의 상태를 기술하기 위해서는 이 두 가지 흐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경계조건(boundary conditions)은 원재료공급 및 수요발생 …(생략(省略))
6.1. 배정규칙
PULL흐름라인의산출량변동성을최소화하는작업자배정안
레포트/감상서평
4. 변동성전파원리 : 정이·성립요건·의의
,감상서평,레포트
순서
PULL 흐름라인의 산출량 변동성을 최소화하는 작업자 배정안1. 서론2. Pull 흐름라인의 개요3. ALM기법을 이용한 수치해석 모형4. 변동성전파원리 : 정의·성립요건·의의5. 제안하는 작업자 배정안(규칙) : (RULE 1)6. 작업자 배정에 대한 사례분석6.1. 배정규칙7. 결론PULL흐름라인의산출량변동성을최소화하는작업자배정안 , [A+] PULL 흐름라인의 산출량 변동성을 최소화하는 작업자 배정안감상서평레포트 ,
Download : [A+] PULL 흐름라인의 산출량 변동성을 최소화하는 작업자 배정안.hwp( 18 )
7. 結論(결론)
5. 제안하는 작업자 배정안(규칙) : (RULE 1)
3. ALM기법을 이용한 수치해석 모형
[A+] PULL 흐름라인의 산출량 변동성을 최소화하는 작업자 배정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