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4 17:05
본문
Download : 음운.hwp
... , 음운인문사회레포트 ,
고대국어 파열음 체계에 경음이 들어 있지 않았다고 보는 것은 전통 한자음을 포함한 모든 資料가 경음의 흔적을 조금도 보여 주지 않기 때문일것이다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다. 고유명사 표기의 ‘이벌=서불(*seper>)’, 계림유사ꡕ의 ‘보살(*pusar>)’, ꡔ향약구급방ꡕ의 ‘오득부득(*utekpütek>오독기)’ 등은 그 증거가 될 수 있는 소중한 data(자료)이다. 이 어두 자음군은 15세기 중반부터 이미 경음으로 變化하기 처음 하여 16세기 말에는 거의 다 경음으로 변했기 때문에 생존 기간은 극히 짧은 셈이나, 그 첫 성립은 ꡔ향약구급방ꡕ 이후의 어느 시기, 즉 14세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ꡔ대명률직해ვ…(skip)
고대국어 파열음 체계에 경음이 들어 있지 않았다고 보는 것은 전통 한자음을 포함한 모든 자료가 경음의 흔적을 조금도 보여 주지 않기 때문이다.설명
음운
순서
Download : 음운.hwp( 17 )
고대국어 파열음 체계에 경음이 들어 있지 않았다고 보는 것은 전통 한자음을 포함한 모든 data(자료)가 경음의 흔적을 조금도 보여 주지 않기 때문이다 경음의 발생은 중세 국어에 들어와서야 이루어진 일이라는 주장에 반대할 근거는 현재로서는 있을 수 없다.
이상 논의한 것을 종합해 보면 고대 국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전기 고대국어 k1 k2 t p n m ɧ r s1 s2 s3 y
후기 고대국어 k k>h t p n m ɧ r s ts h y
고대국어에는 15·16세기 훈민정음 문헌에 나타나는 어두 자음군이 존재하지 않았다. 15세기의 어두 자음군은 그 자음들 사이에 있던 어떤 모음의 탈락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믿어진다.
고대국어의 유음(류음)이 r과 l 중 어느 것인지, 혹은 양자 모두 존재했는지에 대하여는 현재로서는 확언할 수 없다. 그러나 고대국어 어휘 중에 유음을 어두음으로 가진 낱말이 거의 없다는 점, 15세기 이래 유음 음소가 하나뿐이라는 점, 현대 국어에서 음절말 위치에서 r이 l로 이음화한다는 점,《계림유사》, 《향약구급방》에서 치음 앞의 유음이 15세기 이후처럼 탈락하지 않고 유지된다는 점 등으로 등으로 미루어 고대 국어의 유음 음소는 r로 추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