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theory(이론)과 Bruner의 발견학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6 08:30
본문
Download :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과 Bruner의 발견학습_2064881.hwp
(4) 자발적 회복의 원리: 일단 습득된 행동은 즉시 그 행동이 소거되지는 않는다.
순서
SkinnerBruner
설명
,공학기술,레포트
본 자료는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과 Bruner의 발견학습에 대해 정리한 리포트입니다.SkinnerBruner ,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과 Bruner의 발견학습공학기술레포트 ,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理論(이론)
1. 조작적 조건형성理論(이론)
2. 기본 요소
3. 학습과 관련된 몇 가지 원리
4. 스키너 理論(이론)을 적용한 事例(사례)
Bruner의 발견학습
1)선행경향성 (predisposition)
2)지식의 구조
3) 특징
4) 강화의 방법
1. 조작적 조건형성理論(이론): 기본적으로 유기체의 행동이란 외부의 자극에 의해 형성된다고 하며 학습자의 행동이 변화되도록 바라는 goal(목표) 에 도달하도록 계획적으로 조건을 형성해 주는 理論(이론)이다. 즉 행동의 그 행동의 결과에 지배받는다.
(3) 조형의 원리: 이 원리는 행동수定義(정의) 근거가 되는 槪念으로 test(실험) 자 또는 치료자가 원하는 방향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反應(반응)들만을 강화시켜는 것으로 결국 원하는 방향의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리킨다.
4. 스키너 理論(이론)을 적용한 事例(사례)
(1) 프로그램(program]) 학습: 프로그램(program]) 학습 data(자료)는 책자로 되어 있다 미리 정해진 결과 또는 goal(목표) (최종 행동)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소규모로 프로그램(program]) 화 된 자극을 제시하고 이를 즉시 강화하는 조작적 조건화를 이용하…(생략(省略))
다. 강화의 종류에는 정적강화, 부적강화, 조건강화, 토큰강화 등.
(2) 소거의 원리: 反應(반응) 뒤에 강화가 계속되지 않으면 反應(반응)의 강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제거시키거나 강한 행동을 약화시키는데 사용한다.
① 강화적 자극(보상)이 수반되는 反應(반응)은 반복되는 경향이 있다
② 조작적 反應(반응)이 일어나는 비율을 증가시켜 주는 것은 강화적인 자극의 경향이다. 이 理論(이론)은 인간행동이 그 결과에 의해, 즉 보상과 처벌에 의해 유지된다고 보는 것이므로 인간의 모든 행동은 법칙적이며 예측이 가능하며 통제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최초의 행동처럼 지속적으로 강하게 이루어지지 않지만 일단 학습된 행동은 계속 지속하려는 경향이 있다
(5) 변별의 원리: 정교하게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유사한 자극에서 나타나는 조그만 차이에 따라 다른 反應(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theory(이론)과 Bruner의 발견학습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과 Bruner의 발견학습_2064881.hwp( 37 )
본 자료는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theory(이론)과 Bruner의 발견학습에 대해 요점한 리포트입니다.
2. 기본 요소: 자극, 反應(반응), 강화로서의 행동의 변화
3. 학습과 관련된 몇 가지 원리
(1) 강화의 원리: 학습자의 행동이 그 행동의 결과로서 얻은 만족스러운 자극에 의해 반복되거나 강화되는 현상을 강화의 원리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