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사이버네틱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20:09
본문
Download : 2차 사이버네틱스.hwp
1차 사이버네틱스와 체계론적 관점을 기초로 발전된 초기 가족치료는 블랙박스 모델로서 체계와 環境과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며, observe자(치료자)를 observe대상(내담자 체계) 밖에 두기 때문에 치료자로 하여금 내담자를 일방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시각을 갖게 함으로써 치료의 실용적 목적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2차 사이버네틱스라는 용어는 1968년 영국의 인류학자인 미드(Margaret Mead)에 의해 처음으로 제안 되었는데, 모든 수준의 체계…(To be continued )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2차 사이버네틱스.hwp( 48 )
차,사이버네틱스,인문사회,레포트
2차 사이버네틱스
순서
2차 사이버네틱스 , 2차 사이버네틱스인문사회레포트 , 차 사이버네틱스
2차 사이버네틱스
설명





다. 물론 사이버네틱스에 기초한 체계론적 인식론과 사회구성주의를 구분하는 학자들도 있다아 그러나 3장에서 언급한 대로 1차 사이버네틱스(simple cybernetics)와 2차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of cybernetics)를 구분할 필요가 있고, 2차 사이버네틱스의 가족치료에 대한 적용 논의는 사회구성주의가 발전되기 이전부터 여러 학자에 의해 폭넓게 논의되었다. 2차 사이버네틱스
2차 사이버네틱스는 일반체계理論이나 1차 사이버네틱스의 한계를 벗어난 인식론으로 발전되었으며, 포스트모더니즘 관점과 일치한다. 그러나 이 시각은 크게 두 가지 점에서 한계가 있다아 우선 살아 있는 유기체는 環境과 상호작용할 뿐 아니라 그 자체가 상당한 자율성과 자기조직 능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전자에만 초점을 두었다는 한계가 있다아 또한 1차는 observe대상(내담자)을 블랙박스로 볼 뿐 아니라 observe자(치료자)를 또 하나의 블랙박스로 보며, 이들 간의 상호작용은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아 더 높은 수준에서 볼 때, 두 개의 분리된 블랙박스는 서로 상호작용함으로써 하나의 전체 체계를 이루며, 각각의 블랙박스에서 일어나는 단순한 피드백 과정은 더 높은 수준의 피드백 과정에 의해 재조정된다 그러나 체계론적 가족치료는 단순한 피드백 과정에만 초점을 두고, 더 높은 수준의 피드백에 대한 주의를 소홀히 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아
그림. 1차 사이버네틱스
2차 사이버네틱스는 피드백 과정에도 여러 수준이 있음을 강조함으로써 발전하였다.